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7

골다 vs 곯다 헷갈리기 쉬운 말 헷갈리지 않는 방법 늘 사용하는 한글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단어들이 있어 헷갈리기도 합니다. 한 번 익숙해지면 굳어져서 계속 맞춤법을 틀린 채 사용하게 되는데 헷갈릴 때에는 바로 알아보고 사용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골다와 곯다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 계신가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듯 하지만 말로만 사용하다가 문자를 보내거나 할 때 문득 골다 인지 곯다 인지 헷갈려서 손이 갑자기 멈춘 적 있지는 않으신가요? 골다와 곯다를 제대로 사용하고 또 헷갈리지 않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요약* '골다'는 코를 고는 모양새를 나타내고, '곯다'는 과일 등이 상했을 때나 오래 굶어 배고플 때 쓰입니다. 골다 vs 곯다 먼저, 골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잠잘 때 거친 숨결이 콧구멍을 울려 드르렁거리는 소.. 2022. 12. 3.
갔다 vs 갖다 헷갈리기 쉬운 말 헷갈리지 않는 방법 늘 사용하는 한글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단어들이 있어 헷갈리기도 합니다. 한 번 익숙해지면 굳어져서 계속 맞춤법을 틀린 채 사용하게 되는데 헷갈릴 때에는 바로 알아보고 사용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갔다 와 갖다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 계신가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듯 하지만 말로만 사용하다가 문자를 보내거나 할 때 문득 갔다 인지 갖다 인지 헷갈려서 손이 갑자기 멈춘 적 있지는 않으신가요? 갔다 와 갖다를 제대로 사용하고 또 헷갈리지 않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요약* '갔다'의 기본형은 '가다'이고 '갖다'는 '가지다'의 준말입니다. 갔다 vs 갖다 먼저, 갔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가다'의 활용형. 장소를 이동하다. 목적을 가지고 장소를 이동하다. 가다의 예문을 들.. 2022. 12. 2.
결재 vs 결제 헷갈리기 쉬운 말 헷갈리지 않는 방법 늘 사용하는 한글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단어들이 있어 헷갈리기도 합니다. 한 번 익숙해지면 굳어져서 계속 맞춤법을 틀린 채 사용하게 되는데 헷갈릴 때에는 바로 알아보고 사용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결재와 결제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 계신가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듯 하지만 말로만 사용하다가 문자를 보내거나 할 때 문득 결재 인지 결제 인지 헷갈려서 손이 갑자기 멈춘 적 있지는 않으신가요? 결재와 결제를 제대로 사용하고 또 헷갈리지 않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요약* '결재'는 더 높은 사람이 안건을 승인하는 것, '결제'는 돈을 주고 거래를 끝내다의 의미입니다. 결재 vs 결제 먼저, 결재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 2022. 12. 1.
개발 vs 계발 헷갈리기 쉬운 말 헷갈리지 않는 방법 늘 사용하는 한글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단어들이 있어 헷갈리기도 합니다. 한 번 익숙해지면 굳어져서 계속 맞춤법을 틀린 채 사용하게 되는데 헷갈릴 때에는 바로 알아보고 사용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개발과 계발을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 계신가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듯 하지만 말로만 사용하다가 문자를 보내거나 할 때 문득 개발 인지 계발 인지 헷갈려서 손이 갑자기 멈춘 적 있지는 않으신가요? 개발과 계발을 제대로 사용하고 또 헷갈리지 않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요약* '개발'과 '계발'은 모두 이전보다 좋아지다 라는 의미지만 쓰임이 다릅니다. '개발'은 주로 실제로 보이는 것에 쓰이는 일이 많습니다. 기술, 경제, 제품, 국토, 인력 같은 단어와 함께 쓰입니다. '계발'은 능.. 2022. 11. 30.
반응형